도서 <아버지의 해방일지> 줄거리, 감상평
아버지가 죽었다. 이렇게 강렬하게 시작하는 소설이 있었을가 싶다. 하지만 한마디에 이렇게 많은 것이 포함되어 있는 문장도 오랜만에 만났다. 아무런 설명도 없이 툭 던져진 짧은 첫문장. '아버지가 죽었다'는 문장 하나로 시작되는 소설,'아버지의 해방일지'였다.
줄거리
사회주의자, 빨치산, 유물론자로 평생을 살아온 아버지는 전봇대에 머리를 박고 생을 마감한다. 소설은 그 이후 딸이 아버지 고상욱의 장례를 치르는 3일의 내용을 주로 다룬다. 딸인 고아리는 장례식장에서 아버지를 찾아온 조문객들을 만나고, 그들을 통해 퍼즐처럼 흩어진 아버지의 일생을 다시 바라본다. 미처 몰랐던 아버지의 모습을 발견하기도 한다. 백운산에 아버지의 유골을 뿌리기로 했던 아라가 마음을 바꿔서 아버지의 추억이 머물러있는 장소 곳곳을 찾아다니면서 유골을 한 줌 씩 뿌리며 아버지를 이해하고 화해한다.
작가소개
정지아. 1965년 전남 구례에서 태어나 중앙대학교 대학원 문예창작학과 박사과정을 마쳤다. 1990년 장편소설 '빨치산의 딸'을 펴내며 작품활동을 시작했으며, 1995년 조선일보 신춘문예에 단편소설 '고욤나무'가 당선되었다. 소설집 '행복', '봄빛', '숲의 대화', '자본주의의적'등이 있다. 김유정문학상, 심훈문학대상, 이효석문학상, 한무숙문학상, 올해의 소설상, 노근리 평화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감상평
소설 속의 주인공은 이념을 선택한 아버지와는 다르게 태어나보니 이미 가난한 빨갱이의 딸이었다. 그리고 그 무게에 다른 것은 생각할 수도 없었을터이다. 맛난 누룽지를 어머니보다 더 크게 만들어서가 아니라 그냥 아버지가 더 좋았던 고상욱의 딸이었는데 말이다.
나에게도 소설 속에서처럼 누군가 내 손을 붙잡고 아버지의 몰랐던 시간들을, 어머니의 옛추억들을 들려줬으면 좋겠다. 조금 더 기억하고, 조금 더 추억하고, 조금 더 간직하기 위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