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도서 <멋진 신세계> 줄거리, 감상평

by 최현태 2023. 4. 21.

과학이 궁극으로 발달하면, 인간은 행복할까?

 

줄거리

시기는 AF632년. 예수탄생을 기원으로 삼는 AD가 아니라, 대량생산 개념의 원조인 포드이후 632년이라는 시기이다. 세계는 현대와 크게 달라서, 모든 아이들은 엄마의 자궁이 아니라 인공수정을 통해서 병속에서 잉태되고 태어난다. 모든 아이들은 태어나기 전부터 유전자 조작을 통해서 알파부터 베타, 감마-입실론계급으로 나뉘고, 각 계급에 따른 외모, 지능을 부여받고, 잠재의식교육도 받는다. 그러나, 계급간의 갈등이 없다. 이또한 잠재의식교육을 통해 상위 계급은 뛰어난 존재이기 때문에 너무나도 힘든 일을 하고 나는 상위 계급이 아니라서 다행이라는 생각을 갖기 때문이다. 또한 '소마'라는 환각제를 통해 갈등 없는 사회를 만든다. 섹스는 사랑에 의한 행위가 아닌 완전한 쾌락의 도구로 이용되었고 사람들은 수시로 파트너를 바꾼다. 그런 사회에도 오류는 발생하기 마련이다. 가장 뛰어난 알파족인데도 잉태과정 중 약물이 잘못 주입되어 못생긴 외모로 태어난 버나드라는 사람이 있다. 그는 어느날 자신이 짝사랑하는 레니나라는 베타족 여성과 함께 원주민보호구역으로 휴가여행을 간다. 레니나는 그가 마음에 들지않지만 알파족이고 특이한 사람과 섹스를 해보고싶어서 여행에 동행한다. 원주민보호구역은 오래전의 사회모습을 유지하고 있는 곳이다. 마치 현대의 사회처럼 사람들이 섹스를 통해서 아이를 낳고, 환각제인 소마 대신으로 술을 마시는 곳이다. 지금은 민속촌처럼 관광지로 구경하는 곳이다. 버나드와 레니나는 곳에서 오래전 행방불명된 베타족 여성 린다와 그의 아들 존을 만나게 된다. 린다는 자궁을 통해 아들을 낳았다는 사실을 형오하므로 존을 미워하면서도 또 사랑한다. 존은 원주민보호구역에 남아있는 셰익스피어의 책을 읽으면서 글을 배웠기 때문에, 셰익스피어의 감성을 가진 청년이다. 버나드는 린다와의 대화를 통해, 린다에게 피임을 하지 못하게 하여 임신을 시키고 그녀를 그곳 원주민 보호구역에 버려둔 사람이 바로 자신이 싫어하는 직장상사 토마스라는 것을 알게되자, 토마스를 골탕먹이기위해 존과 린다를 문명사회로 데려온다. 수많은 사람이 모인 장소에서 존이 토마스를 '아버지'라고 부르자, 토마스는 충격받은 나머지 사회에서 사라진다. 아버지라는 호칭은 너무나 비문명적이고 창피한 호칭이었던 것이다. 존이 순순히 버나드를 따라온 이유는 아름다운 레니나를 좋아하게 되었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갑작스레 소마를 과용하게 된 어머니 린다의 죽음, 진정한 사랑이라는 것을 모르는 채 특이한 존재인 존과의 섹스만을 원하는 레니나, 셰익스피어의 감성따위는 생각하기싫은 단순한 사고방식의 문명사회 사람들의 행태에 존은 곧 염증을 느끼게 된다. 존은 문명사회를 떠나 황무지에서 혼자의 삶을 꾸려간다. 그런데, 문명사회는 그런 존의 모습조차 단순한 구경거리로 삼는다. 결국 존은 스스로 목숨을 끓는다.

 

작가소개

'올더스 헉슬리'는 1894년 영국의 서리 지방 고달밍에서 태어났다. 그가 태어난 헉슬리 가문은 명문가로 할아버지는 생물학자 토마스 헨리 헉슬리, 형은 생물학자이자 철학자, 교육자인 줄리언 소렐 헉슬리, 매슈 아널드는 그의 큰아버지라고 한다. 그는 명문 가계로부터 과학과 문학적 배경을 물려받았고 이튼과 옥스퍼드에서 교육을 받았다. 1921년 '크롬옐로'를 발료하여 재치있고 이지적인 작가라는 평을 들었다. 풍자적인 글을 많이 썼다고 한다. 다른 작품으로는 '연애대위법', '가자에서 눈이 멀어'등이 있다. 미국에 정착하여 살다가, 1963년 캘리포니아에서 사망했다.

 

감상평

이 작품에는 주인공이라고 할 만한 긍정적인 인물이 하나도 없다. 아름다운 레니나는 생각이 너무 없고, 버나드는 소인배처럼 행동했으며, 야만인 존은 이성적이지 않다. 세계에 10명 밖에 없다는 통제관 무스타파 몬드 역시 문명 사회의 구조적인 결함을 알고 있으면서도 통치를 위해 순응하는 인물일 뿐이었다. '멋진 신세계'에는 헉슬리의 풍자와 조롱이 가득하다.

댓글